728x90
반응형
SMALL
데이비드 맥콜로(David McCullough)는 미국의 저명한 전기 작가이자 역사 작가입니다. 그는 두 번의 퓰리처 상을 수상한 작가로 잘 알려져 있으며, 주로 미국 역사와 관련된 중요한 인물들에 대한 전기를 집필했습니다. 맥콜로의 작품은 깊이 있는 연구와 문학적인 스타일로 유명하며, 역사적 사건과 인물에 대한 생동감 있는 묘사로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습니다.
그의 대표적인 저서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존 아담스 (John Adams)》 - 미국의 제2대 대통령인 존 아담스에 대한 전기로, 퓰리처 역사상과 생애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합니다.
- 《해리 트루먼 (Truman)》 - 미국의 제33대 대통령인 해리 S. 트루먼에 대한 전기로, 그의 정치적 여정과 중요한 역사적 결정을 탐구합니다.
- 《브루클린 다리 (The Great Bridge)》 - 브루클린 다리 건설의 역사와 그 배경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이 작품은 브루클린 다리가 건설되는 과정에서의 기술적 도전과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룹니다.
데이비드 맥콜로는 또한 미국 역사와 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여러 방송 및 강연을 통해 대중과 소통하기도 했습니다. 그의 작품은 단순한 역사적 사실 나열에 그치지 않고, 인물들의 인간적인 면모와 그들의 결정을 따라가며 독자에게 감동을 주는 특징이 있습니다.
전기 작가(Biographer)는 특정 인물의 삶과 경로를 연구하고 그에 대한 전기를 집필하는 작가를 의미합니다. 전기는 한 사람의 생애를 다룬 책이나 글로, 그 사람의 출생, 성장, 중요한 사건들, 업적, 그리고 그 사람이 겪은 도전과 성취 등을 다룹니다.
시련의 선물
오늘의 성경말씀 : 베드로전서 4:12-19 영광의 영 곧 하나님의 영이 너희 위에 계심이라 (베드로전서 4:14) |
성경읽기 : 출애굽기 1-3; 마태복음 14:1-21 새찬송가 : 342(통395) |
인간 비행을 실현한 라이트 형제, 하지만 성공을 향한 이들의 여정은 만만치 않았습니다. 수많은 실패와 조롱, 돈 걱정, 심지어 둘 중 한 명이 부상을 당하는 시련에도 형제는 멈추지 않았습니다. 오빌 라이트의 말처럼 “새는 조용히 높이 날아오르지 않습니다”. 전기 작가 데이비드 맥콜로에 따르면, 이 말은 역경이 “종종 더 높이 올라가는 데 필요한 힘이 된다”는 의미입니다. 맥콜로는 썼습니다. “그들의 기쁨은 산 정상에 도달하는 것이 아니라 산을 오르는 것이었다.” 베드로 사도는 초대 교회에서 박해 받는 이들에게 비슷한 영적 원리를 가르쳤습니다. 베드로 사도는 “너희를 연단하려고 오는 불 시험을 이상한 일 당하는 것 같이 이상히 여기지 말라”(베드로전서 4:12)고 말했습니다. 그것은 고난의 아픔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베드로는 그리스도 안의 소망이 하나님에 대한 우리의 믿음을 성장시킨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초기 그리스도인들이 그랬던 것처럼, 우리가 예수님을 믿는다는 이유로 고난 받을 때 이 말은 더욱 사실로 다가옵니다. 베드로는 이렇게 썼습니다. “그리스도의 고난에 참여하는 것으로 즐거워하라 이는 그의 영광을 나타내실 때에 너희로 즐거워하고 기뻐하게 하려 함이라”(13절). 또, “너희가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치욕을 당하면 복 있는 자로다 영광의 영 곧 하나님의 영이 너희 위에 계심이라”(14절). 전기 작가가 라이트 형제의 성품을 찬탄했던 것처럼, 다른 사람들이 우리 안에서 일하시는 하나님의 사랑스러운 성품을 볼 수 있기를 바랍니다. 주님은 우리의 믿음을 크게 성장시키시려고 역경을 사용하십니다. |
당신은 그리스도를 위해 어떤 고난을 겪었습니까? 그래서 어떻게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셨습니까? |
사랑하는 하나님, 고난이 저를 시험합니다. 주님의 영광을 위해 소망을 주시옵소서. |
728x90
반응형
LIST
'오늘의 양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님의 지혜와 오늘의 양식. (1) | 2025.01.24 |
---|---|
하나님을 알아보는 방법 (0) | 2025.01.22 |
아론 더글러스의 그림 ‘Let My People Go(내 백성을 가게 하라) (0) | 2025.01.20 |
하나님을 위해 결실 맺은 사람 (0) | 2025.01.19 |
예수님을 만나 의롭게 됨 (1) | 2025.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