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정보

편도선과 임파선의 차이점

tellyou1 2025. 4. 6. 16:00
728x90
반응형
SMALL

편도선과 임파선은 둘 다 면역 체계와 관련이 있지만, 위치나 기능, 구조 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에 정리해 드릴게요:


✅ 편도선 (Tonsils)

  • 위치: 목구멍 양쪽(입 안쪽 뒤쪽), 코 뒤쪽 등 상기도(상부 호흡기계)에 위치
  • 종류: 구개편도, 인두편도(아데노이드), 설편도 등
  • 역할: 입이나 코를 통해 들어오는 병원체(세균, 바이러스 등)를 감지하고 방어하는 1차 방어선
  • 구성: 림프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백혈구가 많음
  • 특징: 아이들에게 더 발달되어 있으며, 성인이 되면서 작아지는 경우가 많음
  • 질병: 편도염, 편도비대, 편도결석 등이 흔함

✅ 임파선 (Lymph Nodes)

  • 위치: 전신에 퍼져 있음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 복부 등)
  • 역할: 림프액을 걸러서 세균, 바이러스, 암세포 등을 제거하고 면역 반응을 조절
  • 구성: 림프구(면역세포)와 망상세포 등이 있는 림프조직
  • 특징: 감염 시 부어서 만져질 수 있음 (예: 감기나 독감 때 목 임파선이 부음)
  • 질병: 림프절염, 림프종(림프암), 전이암 등

🟡 요약 비교

항목편도선임파선
위치 목 안쪽 전신 (목, 겨드랑이 등)
기능 병원체 초기에 차단 림프액 정화, 면역세포 활성화
질병 예시 편도염, 편도비대 림프절염, 림프종
구성 림프조직 림프조직
728x90
반응형
LIST